더본코리아 설날 빽햄 선물 논란과 주가 그리고 백종원 오너리스크
승승장구를 달리던 백종원 대표가 큰 어려움에 봉착했다. 일단 시발점은 자신? 자신의 회사? 주식회사니까 자신의 회사는 아니려나? 유튜브 채널 "백종원 PAIK JONG WON" 이하 그냥 백종원 채널이라 하겠다. 바로 유튜브 채널에 한 영상을 올리면서다. 스팸과 비슷한 프레스햄을 설 연휴를 맞아 선물세트 상품을 할인 판매하는 영상을 올렸으나 댓글 반응을 보면 좋지 못하다.
*해당 이슈의 관한 내용은 이전에 올린 아래글 링크 참조(새창)
2025.01.18 - [이슈/유튜브.유명인.연예인] - 2025년 새해 백종원 설날 선물세트 판매 빽햄 가격 논란 "....100%한돈 사용"
2025년 새해 백종원 설날 선물세트 판매 빽햄 가격 논란 "....100%한돈 사용"
2025년 새해가 밝았는데, 처음부터 백종원의 백햄이 논란의 도마에 올랐다. 백종원은 자신을 브랜드로 한 구독자 672만명(2025년 01월 17일 기준)의 유튜브 채널에서 내꺼 파는 팔렘(?) 내팔렘이라는
lonelygourmet.tistory.com
이런 이슈에 따라 과거 백종원 대표의 발언을 인용한 비판의 목소리가 매우 많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이슈는 일시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올라오는 다른 신규 영상에서도 비판을 이어졌다. 이에 따라 사태의 심각성을 느낀건지 2025년 01월 27일 빽햄의 해명 영상을 올렸다. 이것은 이슈가 된 영상이 올라온 2025년 01월 17일에서 10일 지난 2025년 01월 27일.
*해당 이슈의 관한 내용은 이전에 올린 아래글 링크 참조(새창)
2025.01.27 - [이슈/유튜브.유명인.연예인] - 백종원 빽햄 논란 드디어 입을 열다 "...1세트 마진 약 1,500원"
백종원 빽햄 논란 드디어 입을 열다 "...1세트 마진 약 1,500원"
지난 2025년 01월 17일 빽햄 설날 선물세트 할인판매 영상으로 많은 논란을 일으켰던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가 드디어 입을 열었다. 해당 영상이 게제되고 몇 시간도 지나지않아 많은 비판 댓글
lonelygourmet.tistory.com
이에 따라서 백종원 대표가 운영하고 있는 회사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는데, 특히 얼마 전 더본코리아는 주식시장에 상장했기 때문이다. 상장 당시도 잡음이 많았던지라 앞으로의 주가의 향방에 대해서 토론이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
오너리스크
그도 그럴 것이 더본코리아에 대한 이미지는 백종원 자체가 더본코리아 그 자체이며, 더본코리아가 백종원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오너리스크가 크긴 했지만 그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한 것인지 그동안 백종원 대표의 프랜차이즈의 가벼운 맛, 장사꾼으로써의 이미지를 깨준 것이 바로 이 흑백요리사일 것이다. 백종원은 안대를 가리고 있으면서도 블라인드 심사에서 그동안의 많은 음식에 대한 경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일반 대중들에게 있어 생소한 음식에 대해서 정확히 맞추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요식업의 대가 더 나아가 미식가로써 이미지를 더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로 인한 백종원에 대한 신뢰감 상승은 현재 운영하는 프렌차이즈 이미지 상승, 홍보효과, 그리고 본인에게도 큰 플러스가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 백종원의 레미제라블이라는 프로그램 방영 예고로 또 다시 이슈몰이에 휘말렸다. 대략적으로 장발장 이야기를 모티브한 출연자들의 갱생 프로그램인데, 과거 SBS '송포유'라는 프로그램에서 출연했던 출연진이 최근에 좋지 못한 이유로 인한 운전사고로 피해자가 사망함으로 다시 한번 뉴스에서 시끄러웠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갱생프로그램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아주 안좋은 상태에서 백종원은 아마 과거 포방터 시장의 선례를 다시 한번 재현함으로 사람들에게 감동과 더불어 자신과 회사의 이미지, 그리고 주가 반등을 노렸던 것 같으나...
그동안 쌓였던 안좋은 스택들이 쌓였던 탓일까.. 위의 내용 포함해서 연돈볼카츠 프랜차이즈 논란(지상파에 많이 노출된 연돈을 모티브로한 연돈 볼카츠 프랜차이즈 창업은 지상파를 자신의 홍보 수단으로 이용했다는 논란, 가맹점주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허위 매출 과장에 대한 논란), 백종원의 레미제라블 논란, 빽햄 논란. 매번 이렇게 논란과 해명 영상을 올리는 반복적인 상황에 상장된 주식의 주가는 계속해서 우하향을 그리고 있다.
앞으로의 방향은?
아무래도 주가가 이 모양이다보니 사람들의 관심과 트래픽이 몰리니까 뉴스 기사가 많이 올라오기 시작한다. 특히 요즘은 더본코리아의 매출이 빽다방 의존도가 높다는 뉴스 기사가 많이 올라오기 시작한다. 증권보고서를 확인해보니 빽다방 매출액 / 가맹사업 매출액 * 100 = 44.55%가 나온다. 확실히 의존도가 높다. 저가 커피시장이 언제까지 갈까? 언젠가 저가 커피시장도 인기가 식을 때가 올 것이다. 더본코리아의 주가가 반등하려면 기대감을 줄 수 있는 그 무언가가 필요한데 사업의 특성상 큰 변화를 주기 어려운 상황에서 백종원 대표는 이 난국을 어떻게 해쳐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앞으로의 예상되는 주가 방향은 RSI 지수 및 오너리스크를 감안하면 앞으로도 계속해서 내리막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첫 상장날 고가 대비 반토막, 종가 대비한다면 아직 약 - 40% 정도일 것이기 때문에, 내 생각은 아직은 더 하락의 여력이 남아 있다고 생각된다. 굳이 들어가고자 한다면 들어가고자 하는 돈 1/100씩 백토막을 내서 매일 조금씩 소량으로 구매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아직 바닥이 어딘지 모르기에...(장기간 계단식 하락을 겪어본 사람이라면 내가 왜 이렇게 말하는지 알 것이다.)
'정보 > 제테크.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시크 DEEPSEEK를 만든 주역은 "...대부분 국내파" (5) | 2025.02.04 |
---|---|
딥시크 AI 혁명 : 국내 기업들이 맞이할 새로운 변화와 기대와 우려 (3) | 2025.02.04 |
요식업 브랜드 주식 투자에 주의해야 하는 이유 더본코리아 교촌에프엔비 대산F&B 티엔엔터테인먼트 (4) | 2025.02.03 |
딥시크 논란과 AI 주가 대변동 –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 발언의 영향 (8) | 2025.01.31 |
딥시크(DeepSeek)와 미국 증시 하락 : AI 경쟁이 바꾼 시장 (3) | 2025.01.27 |
댓글